캐나다 워털루대학교 (University of Waterloo) 평화갈등학 디플로마 (Diploma in Peace & Conflict Studies)
미국 이스턴메너나이트대학교 (Eastern Mennonite University) 갈등전환 석사 (M.A. in Conflict Transformation)
영국 브래드포드대학교 (University of Bradford) 평화학 박사 (Ph.D. in Peace Studies)
업무 경력
한국기독교교회협의회(NCC-Korea) (1990-1995)
한국 월드비전 (1998)
국제 월드비전 아.태지역 북한사업본부 (2002-2005)
책 집필
『갈등해결과 한국사회: 대화와 협력을 통한 갈등해결은 가능한가?』 (2010년 10월 / 2011년 우수학술도서 선정)
『공공갈등해결: 정부, 기업, 시민단체를 위한 실전 가이드』 (번역) (2010년 10월)
『평화학자와 함께 읽는 지도 밖 이야기』 (2012년 2월 / 2012년 우수교양도서 선정)
『세상의 평화 나의 평화』 (2012년 6월)
『시장의 평화 나의 평화』 (2012년 12월)
『평화, 당연하지 않은 이야기』 (2013년 10월)
『지구의 평화 나의 평화』 (2014년 3월)
『평화를 보는 눈』 (2015년 2월)
『갈등은 기회다』 (2016년 3월 / 2017년 우수학술도서 선정)
『인간은 왜 폭력을 행사하는가?』 (공저) (2018년 5월)
『평화운동: 이론. 역사. 영역』 (공저) (2018년 6월)
『10대와 통하는 평화통일 이야기』 (2019년 9월)
『평화, 평화를 빼앗긴 사람들』 (세계시민수업 8) (2019년 10월)
『정주진의 평화 특강』 (2019년 11월)
『선생님, 더불어 살려면 어떻게 해요?』 (2020년 9월)
『갈등해결 수업』 (2021년 10월)
『선생님, 세계 시민이 되려면 어떻게 해야 해요?』 (2022년 1월)
논문 / 출판물
“A cultural dimension of public dispute resolution.” In: ACR(Associates of Conflict Resolution) Environment and Public Policy Section Quarterly Fall (2008).
“Peace in transition: the peace movement in South Korea.” In: Peace movements worldwide. Marc Pilisuk and Michael N. Nagler (eds.), (2011).
“한국사회 갈등의 특징과 해결 방향” 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학술대회 (2012년 5월)
“일상의 폭력과 녹색 평화” 『녹색평화』(2013년 5월)
“평화연구로서의 갈등해결 연구” 『통일과 평화』서울대 통일평화연구원 (2013년 6월)
“세계교회와 한국교회의 정의 평화 논의와 실천” 『기독교사상』(2014년 1월)
“공공갈등과 구조적 문제” 단국대 분쟁해결연구센터 학술대회 (2014년 2월)
“공공기관 갈등대응: 바람직한 방향을 위한 제안” 서울행정학회-한국정책포럼 공동 추계학술대회 (2014년 10월)
“한국사회 공공갈등해결 현황과 과제: 한계 극복을 위한 제언” 고려대 한국사회연구소 학술 심포지엄 (2014년 12월)
활동 내용
무장갈등 예방을 위한 세계 파트너십(Global Partnership for the Prevention of Armed Conflict/GPPAC) 서울 과정 실행위원 및 유엔대회 한국대표 (2004-2005년)
대통령직속 지속가능발전위원회 공공정책과 갈등관리 워킹그룹 (2005년)
아시아재단(The Asia Foundation) 네팔 지부 아시아개발 펠로우십 (2008년)
UNEP Eco-Peace Leadership Center(강원대) 지도교수 및 교육전문위원 (2009-2017년)